본문
                            김원일
                            파트너변호사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- TEL 02 6003 7511
 - FAX 02 6003 7029
 - E-MAIL wonilkim@yoonyang.com
 
소개
법무법인(유한) 화우의 파트너 변호사로 주된 업무분야는 지식재산권, 공정거래, 방송, 정보통신, 바이오산업 입니다.
서울변호사회 특허연수원의 교수, 공정거래위원회 경쟁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으며, 현재 대한상사중재원 국제중재 중재인으로 활동 중에 있습니다.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LL.M. 학위를 받았습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서울변호사회 특허연수원의 교수, 공정거래위원회 경쟁정책자문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으며, 현재 대한상사중재원 국제중재 중재인으로 활동 중에 있습니다.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을 졸업하고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에서 LL.M. 학위를 받았습니다.
업무분야
경력
- 2003-현재 법무법인(유한) 화우
 - 2020-현재 대한변호사협회 지식재산연수원 운영위원회 위원
 - 2017-현재 대한상사중재원 국제중재사건 단독중재인
 - 2017-현재 국가신약개발재단(구: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) 법률고문
 - 2016-현재 특허법원 민사 조정위원
 - 2016-현재 한국특허변호사협회 이사
 - 2015-현재 한국인터넷진흥원 인터넷법제도포럼 위원
 - 2014-현재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자문변호사
 - 2012-현재 법무부 국제투자∙지식재산권 법률자문단 자문위원
 - 2009-현재 한국산업재산권법학회 이사
 - 2015-21 한국지적재산권변호사협회(KIPLA) 부회장
 - 2013-21 대한중재인협회 부회장
 - 2011-13 국가신약개발재단(구: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) 투자심의위원
 - 2008-09 일성신약 사외이사
 - 2005-07 공정거래위원회 경쟁정책자문위원
 - 2004-07 서울변호사회 특허연수원 교수
 - 1998-03 법무법인 우방
 - 1996-98 시민종합법률사무소
 - 1994-96 인천지방법원 판사
 
학력
- 2002 미국 University of Washington School of Law (LL.M.)
 - 1994 사법연수원 제23기
 - 1991 제33회 사법시험 합격
 - 1988 서울대학교 법과대학
 
자격
변호사, 대한민국(1994)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주요업무사례
- 한국 공정거래위원회의 모바일통신용 반도체 제조사에 대한 특허권 남용 반독점 조사 사건에서 피조사자에 대해 법률자문
 - 다가(multi valent) 폐렴백신에 적용되는 특허 분쟁 소송대리
 - 3D NAND Flash memory 제조공정에 관한 직무발명 보상금 청구사건 소송대리
 
수상
- Chambers and Partners Global Intellectual Property 분야 "Leading Individual" 선정 (2021-2025)
 - Chambers and Partners Asia-Pacific Intellectual Property 분야 "Leading Individual" 선정 (2020-2025)
 - Benchmark Litigation Asia-Pacific Intellectual property 분야 "Litigation Star" 선정 (2023-2025)
 - asialaw Intellectual property 분야 "Distinguished Practitioner" 선정 (2013-2018, 2020-2023/24)
 - Asian Legal Business "Korea Super 30 Lawyers" 선정 (2021-2022)
 - MIP IP Stars "Patent Star", "Trade Mark Star" 선정 (2019, 2022)
 - Legal 500 Asia-Pacific Intellectual Property 분야 ‘Leading Individual’ 선정 (2016, 2018)
 - MIP World IP Survey ‘IP Star’ 선정 (2017)
 
기고
- Korea Chapter, Copyright, Chambers Global Practice Guide, Chambers and Partners (공저, 2021-2023)
 - Korea Chapter, Trade Secrets, Chambers Global Practice Guides, Chambers and Partners (공저, 2020-2023)
 - Brand and reputation management for general counsel in South Korea, The In-House Lawyer, Legalease (공저, 2020)
 - Korea Chapter, Defence & Security Procurement, Getting the Deal Through, Law Business Research (공저, 2017-2020)
 - Korea Chapter, Intellectual Property & Antitrust, Getting The Deal Through, Law Business Research (공저, 2015-2018)
 - The Technology, Media and Telecommunications Review, Law Business Research (공저, 2013-2017)
 - Bridging the gap, Asia Fintech Special Focus, International Financial Law Review (공저, 2017)
 - Accelerating growth, Asia-Pacific Fintech Special Focus, International Financial Law Review (공저, 2016)
 - Regul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n new fields, IP & TMT Personal information and patent IP technology update, Asian-Mena Counsel, Pacific Business Press (공저, 2016)
 - Korea Chapter, The Energy Regulation and Markets Review, Law Business Research (공저, 2015)
 - Korea Chapter, Data Protection & Privacy, Getting the Deal Through, Law Business Research (공저, 2015)
 - Korea Chapter, Public Procurement, Getting the Deal Through, Law Business Research (공저, 2015)
 - Korea Chapter, Intellectual Property Law Guide, LexisNexis (공저, 2014)
 - Securing the cloud, IP & TMT chapter, Asialaw Korea Annual Review, IFLR (공저, 2013)
 - When do counterfeit sales cause confusion?, International Briefings, Managing Intellectual Property (공저, 2013)
 - 사용자의 영업비밀 보호를 위한 근로자의 경업, 전직 금지와 보상의 필요성, 인권과 정의 (2011)
 - Overview and Trends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and Competition Law in Korea, The Asia Pacific Antitrust Review (2007)
 - New Weight Class in Korea, The Securities-related Class Action Act, Asian Counsel (2005)
 - Reinforced Regulations on Spam Mail, asialaw (2005)
 - 퍼블리시티 권리에 대한 소고, 법조 (2003)
 
언어
한국어, 영어